배비치 블랙, 글로브밀 쇼블, 란 그란 리세르바, 꼬또 데 이마스, 투핸즈 홉스 앤 드림스, 투핸즈 찰리스 가든

배비치 블랙 라벨 말보로 소비뇽 블랑(Babich Black Label Sauvignon Blanc), 2021 - New Zealand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요즘 배비치 소비뇽 블랑을 찾아보면 온통 블랙 라벨 뿐이다. 다행히 배비치(블랙 라벨이 아닌) 가격만큼 많이 떨어진 상태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아서 오히려 상위 와인을 저렴한 가격에 마실 수 있다. 어찌되었건 뉴질랜드 소비뇽블랑 중에 애플향, 허브향이 많은 와인을 골라달라고 한다면 단연 배비치 소비뇽 블랑을 추천한다.
거의 투명하다시피한 밝은 레몬빛. 싱그러운 애플향, 레몬향, 라임향, 허브향이 주를 이루면서 산뜻한 청량감을 주는 게 포인트다. 산미와 함께 입안 곳곳을 톡톡 터치하는 느낌도 있고 미세한 잔당감이 함께 조화를 이룬다. 상쾌하면서 미세하게 씁쓸한 맛이 끝을 잡아주면서 마무리를 더욱 깔끔하게 해주는 느낌을 받는다. 잔당감을 더 높이고 싶다면 음용 온도를 조금 더 높여서 마시면 되고, 잔당감이 싫다면 온도를 더 낮춰 마시면 바짝 조여주는 느낌이다. 복합미 보다는 산뜻한 청량감 위주의 맛과 향을 이루고 있어서 가볍게 식전주로 마시기 좋다.
그로브 밀 소비뇽 블랑(Grove Mill Sauvignon Blanc), 2021 - New Zealand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와인샵 사장님의 추천도 있었지만 국가대표 소믈리에 최정원의 추천와인이라는 레이블이 있어서 구입하게 된 소비뇽 블랑이다. 이 와인을 마시고 맛있으면 땡큐, 맛없으면 소믈리에가 느낀 부분을 내 감각으론 찾기 어렵거나 개인적인 호불호에 지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며 오픈했다.
밝은 레몬빛. 오픈 하자마자 여러 아로마가 바로 퍼져 나왔다. 그린 애플, 레몬 등 시트러스 향과 함께 스타푸르츠 같은 열대 과일향도 함께 난다. 높은 산미와 미네랄, 미세한 잔당감은 청량감을 더해주면서 전체적인 조화로움을 만들어준다. 와이라우리버 쇼블이 생각나는 와인이지만 그 정도로 열대 과일향이 강하지는 않다. 그래서 다채로운 느낌에 청량감 있는 바삭한 느낌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로브 밀 쇼블도 좋아할 것 같다. 개인적인 뉴질랜드 쇼블 리스트에 이 와인을 넣어둬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로브 밀 와이너리는 말보로지역의 와우라우 밸리(Wairau Valley)에 위치해 있고 그 지역이 배수가 잘되고 긴 일조시간과 큰 일교차 때문에 아로마를 극대화해서 와인을 생산한다고 한다. 그로브 밀 쇼블을 마실 때(와이너리 정보 없이) 와이라우리버 소비뇽 블랑이 생각났던 게 결코 우연은 아니었던 것이다.
리오하 란 그란 리세르바(RIOJA Ran Gran Reserva), 2012 - Spain
템프라니요(Tempranillo) 80%, 마주엘로(Mazuelo) 10%, 가르나차(Garnacha) 10%
홈플에서 구입 이후 가성비가 좋아 보일 때 마다 구입해두는 와인이다. 리세르바 보다 그란 리세르바에서는 조금 더 고급스럽고 은은하면서 더욱 긴 피니쉬를 보여주고 가격차도 몇 천원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그 이후엔 그란 리세르바만 마시고 있다.
짙은 검붉은 빛깔. 프랑스산, 미국산, 러시아산 오크를 혼합하여 만들었다고 하는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그을린 듯한 짙은 오크향이 난다. 블랙체리, 블랙커런트 향이 주를 이루고 은은한 잔당감 까지 느껴지면서 아주 긴 피니쉬를 보인다.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비춰보면 고급스러운 느낌과 우아한 느낌을 주는 와인은 대부분 스페인 와인이었다. 꼬또 데 이마스 그랑 리세르바, 루이스 까냐스 그랑 리세르바, 마르께스 디 까세레스 그랑 리세르바 등 템프라니요 품종이 메인인 그란 리세르바 와인들이다. 모두 다 인상 깊을 만큼 고급지고 우아한 느낌을 줬던 와인이다.
꼬또 데 이마스 그랑 리세르바(Coto de Imaz Gran Reserva), 2015 - Spain
템프라니요(Tempranillo) 100%
2012 빈티지를 마셨을 때는 오크향이 아래에서 잔잔히 잡아주면서 바닐라향, 매화향, 양송이향, 블랙 베리류의 검붉은 과일향, 초콜릿의 끝맛이 고급진 느낌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느낌이었다. 그리고 2014 빈티지를 마셨을 때는 부쇼네로 의심되는 상태의 와인이어서 단조롭고 가벼운 듯한 느낌이 가득했다. 그래서 처음 느낀 그 느낌을 다시 느끼고 싶어 재구매하게 되었고 이번엔 2015 빈티지다.
짙은 자주빛. 향에서 이미 2012 빈티지를 마셨을 때의 느낌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오크향, 바닐라향, 매화향, 양송이향, 블랙 베리류의 검붉은 향, 초콜릿의 끝맛 까지 처음 접한 느낌을 그대로 받았다. 부드럽게 입안을 감싸는 느낌이 좋고 부드러움 속에 중간 이상의 타닌감과 바디감이 묵직하게 느껴지면서 은은하게 가득 채우는 느낌이다. 어느 것 하나 튀지 않고 조화로움 그 자체를 보여준다. 잔당감이 느껴지지 않는데 꼬또 데 이마스에는 단맛이 들어가면 안될 것 같은 느낌이다.
투핸즈 홉스 앤 드림스(Two hands Hopes and Dreams), 2021 - Australia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100%
코스트코에서 판매되는 투핸즈 와인 중에 까베르네 소비뇽 품종의 와인이다. 투핸즈 와인답게 맛있다 라는 느낌이 제일 먼저 나오고 어느 빈티지를 마셔도 일정한 수준을 보여주는 와인이다.
짙은 붉은 자주빛. 블랙 커런트, 체리향, 달콤한 과실향이 진하고 화려하게 풍겨난다. 쉬라즈와 다르게 크리미한 느낌이 없고 화려함 속에 동글동글한 텍스쳐, 단맛, 타닌감이 부드럽게 어우러지면서 피니쉬 까지 길게 이어진다. 긴 여운 속에는 약간의 스모키함도 따라온다.
같은 까베르네 소비뇽 품종 중에 섹시비스트 라고 있는데 섹시비스트는 이름 답게 강렬함이 크게 다가오는 반면 홉스 앤 드림스는 이름 답게 부드러움 속에 풍부한 향과 타닌감의 조화가 돋보이는 와인이다.
와인 초보자들이 맛있게 마실 수 있는 와인을 찾는다면 당연 투핸즈 시리즈를 추천해본다.
투핸즈 찰리스 가든(Two hands Charlie's Garden), 2019 - Australia
쉬라즈(Shiraz) 100%
코스트코에서 큰 폭의 할인 행사를 하고 있어서 호기심에 구입해본 와인이다.
검붉은 자주빛. 검은 과실향, 부드러움, 건자두향, 감초향, 초콜릿향이 풍겨난다. 약한 타닌감과 중간 이상의 바디감이 느껴지는데 뭔가 덜 깨어난 느낌이 들었다. 시간을 조금 두고나니 조금씩 강한 느낌이 묻어나오기 시작했는데 품종도 다른 전혀 상관없는 요리오가 떠올랐다.
뭔가 안깨어났나 싶어 디켄더에 옮겨서 마시니 부드러우면서 건자두향, 감초향, 초콜릿향, 후추향이 가득해졌다. 타닌감도 중간정도의 타닌감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뭔가 풍부한 느낌을 받기는 어려웠다. 아마도 가격에 준하는 향을 기대했는데 기대치에 미치지 못해서 생기는 기분탓 같았다. 결국 가성비로는 별로인 느낌이 컷고 다신 안사마실 것 같다. 첫 느낌이 뭔가 약한데? 라는 느낌이 든다면 병 브리딩을 30분 이상 진행하거나 디켄더에 옮겨서 마시는 걸 추천한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홈플러스 가성비 와인 추천
홈플러스 가성비 와인 추천
2023.05.18 -
머드하우스, 배비치 블랙, 투핸즈 브레이브 페이스, 파우스티노 1세, 빌라 안티노리 로쏘, 리오하 란, 마르케스 델 실보 그란 리세르바
머드하우스, 배비치 블랙, 투핸즈 브레이브 페이스, 파우스티노 1세, 빌라 안티노리 로쏘, 리오하 란, 마르케스 델 실보 그란 리세르바
2023.03.14 -
송도 추천 와인샵 네고시앙 (커넬워크 가을동)
송도 추천 와인샵 네고시앙 (커넬워크 가을동)
2022.12.06 -
러시안잭 쇼블, 앙시앙땅 소비뇽 샤도네이, 도마네 고벨스버그 리슬링, 요리오, 피터르만 포트레이트 쉬라즈, 엔젤스 쉐어, 산타 캐롤리나 까쇼
러시안잭 쇼블, 앙시앙땅 소비뇽 샤도네이, 도마네 고벨스버그 리슬링, 요리오, 피터르만 포트레이트 쉬라즈, 엔젤스 쉐어, 산타 캐롤리나 까쇼
2022.09.24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