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비치 쇼비뇽블랑, 배비치 피노누아, 앙시앙땅 까베르네 쉬라, 브리스데일 브레머뷰 쉬라즈, 샤또 비뇨 생떼밀리옹 그랑크뤼, 노블힐 에스테이트 리저브

배비치 말보로 소비뇽 블랑(Babich Marlborough Sauvignon Blanc), 2020 - New Zealand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내 블로그에서 너무나도 많이 소개한 배비치 쇼비뇽 블랑. 가성비, 가심비를 모두 다 갖춘 훌륭한 호주 소비뇽 블랑이다. 가장 저렴하게 샀을 때가 16,000원 이었으니 이 보다 더 훌륭한 가성비 와인이 있나 싶다. 배비치 쇼블의 경우 예전에는 칠링을 일반적인 와인만큼 해서 마셨다면 요즘은 그보다 온도를 조금 더 높여서 마신다. 차가울 때 라임과 허브향이 풍부하게 채우면서 산뜻한 느낌을 입안 가득 채운다면 온도가 조금 올라갔을 때는 레드 애플의 단맛과 함께 더 복합적인 향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입안에서의 느낌도 동글동글 좋고 산미도 적당하면서 피니쉬가 길어 여운도 즐기기 좋은 화이트 와인이다. 호주 소비뇽블랑을 즐겨 마시는데 아직도 안마셔봤다면 꼭 마셔봐야 하는 와인이다.
배비치 말보로 피노누아(Babich Marlborough Pinot Noir), 2020 - New Zealand
피노누아(Pinot Noir) 100%
배비치 말보로 소비뇽 블랑의 이미지가 너무 좋아 피노누아도 좋은 품질이겠지 하며 구입한 와인.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마시기 정말 힘들었다. 보통 와인을 마시면서 메모를 많이 해두는 편인데 배비치 피노누아는 메모가 단 한 줄도 없다. 첫 잔을 마시고 너무 이상해서 한 모금 다시 마셔본 후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서 다른 와인을 오픈했다.
앙시앙땅 까베르네 쉬라(Anciens Temps Cabernet / Syrah), 2019 - France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50%, 쉬라(Syrah) 50%
검은 루비 색상, 향이 가볍고 바디감도 별로 없는 느낌이다. 블랙베리, 건자두가 주를 이루고 입천장쪽으로 오크향이 느껴졌다. 호불호가 없을 것 같은 무난한 느낌이라서 데일리 와인으로 사용되는가 싶다. 부드럽고 약한 타닌감이라 와인 초보자들에게도 적합할 와인일 것 같다. 다만 와인에서 감동을 찾기는 어렵고 그냥 와인이 마시고 싶은 날 부담 없이 오픈할 수 있는 와인이라 생각한다. 가격도 13,900원에 구입한 만큼 가성비가 훌륭한 데일리 와인이라 생각한다.
와인 이름의 Anciens Temps는 영어로 from the past 를 뜻하는 말로 과거 선조들이 가꾸어온 좋은 포도밭과 현대적인 시스템으로 우수한 와인을 만들어 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브리스데일 브레머뷰 쉬라즈(Bleasdale Bremerview Shiraz), 2018 - Australia
쉬라즈(Shiraz) 100%
짙은 자주빛 레드 컬러. 과일향이 가득하고 진하면서 단맛까지 느껴진다. 호주의 쉬라즈는 대부분 맛있다 라는 표현이 제일 먼저 떠오르는데 이와 더불어 과일향이 가득한 특징까지 함께 따라온다. 블랙 베리류의 향과 오크향이 아로마로 다가오고 부드러우면서 무게감과 농밀함을 갖추고 있다. 브리스데일 빈야드에서 나오는 와인 중에 브레머뷰 쉬라즈와 프랭크 포츠 두 가지만 경험해봤는데 모두 만족스러웠다.
샤또 비뇨 생떼밀리옹 그랑크뤼(Chateau Vignot Saint Emilion Grand Cru), 2013 - France
메를로(Merlot) 70%,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30%
40분 이상 병 브리딩을 했지만 결론적으로 병 브리딩을 더 하던가 디켄더에 와인을 옮기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검붉은 가넷 색상. 감초와 오크향이 많이 느껴지며 블랙커런트, 스모키, 다크 초콜릿, 아주 잘 익은 자두향이 느껴진다. 중간 이하의 타닌감과 둥글둥글한 구조감이 있고 산미는 적은 편이다. 가벼운 듯한 여운이 길게 이어진다.
소고기와 페어링이 좋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감초 섞인 오크향이 진하게 나타났다. 2013 빈티지가 다른 빈티지에 비해 평점이 낮은 게 조금 아쉽기도 하고 선물로 받은 와인이니까 마셨지, 이 가격에 이 와인을? 하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되었다.
그리고 보르도 메독 지역에서의 그랑크뤼는 의미가 있을지 몰라도 생떼밀리옹 그랑크뤼는 이름에서 그랑크뤼의 의미를 찾기 어렵다. 마트나 와인 할인 매장에서 이 와인 그랑크뤼에요 라며 영업을 한다면 당신을 호구로 생각하고 있을 확률 29000%. 생떼밀리옹 그랑크뤼는 단지 생산지 AOC 이름일 뿐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랑크뤼 와인을 찾고 싶다면 그랑크뤼 클라세(Grand Cru Classe) 라는 표시가 있어야 한다.
노블힐 에스테이트 리저브(Noble Hill Estate Reserve), 2018 - South Africa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49%, 메를로(Merlet) 21%,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2%, 쁘띠 베르도(Petit Verdot) 10%
남아공 와인은 개인적으로 불호의 와인을 많이 경험하다보니 쳐다보지도 않던 와인인데 이런 편견을 깨준 와인이 노블힐 와인이다. 병 브리딩 1시간이나 디캔터 30분 정도의 디캔팅이 필요하다고 해서 병 브리딩을 하고 마셨다.
검은 자주빛, 산지오베제 품종의 색상이 보였다. 검붉은 과실향, 옅은 오크향, 타바코, 블랙 베리류, 건자두 향이 주를 이루는 복합미가 느껴지는 와인이었다. 리저브가 붙어서 인지 다른 노블힐에 비해 조금 더 부드러워진 중간정도의 타닌감이었다. 스모키, 스파이시하면서 입안에서 톡톡톡 하는 느낌이 있다. 예전 노블힐 까베르네 소비뇽에서도 입안에 머금고 있을 때 초반에 톡톡 찌르는 느낌을 받았는데 노블힐 에스테이트 리저브에서도 같은 느낌을 받았다. 끝에 씁쓸한 느낌이 있고 그을린 향이 제법 많게 느껴졌는데 씁쓸한 향은 그을린 부분에서 오는 게 아닐까 싶은 생각을 해보게 된다. 프리런 주스(Free run juice : 포도를 으깬다음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나온 포도즙)로 만든 와인이라 부드럽다고 하나 스모키하고 스파이시함 때문에 강하게 느껴진다.
개인적으로 노블힐 와인은 추천해본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스톤번, 몬테플로레스 말벡, 투핸즈 홉스앤드림스, 1865 쉬라, 페레즈 크루즈 쉬라, 고스트 파인, 란 리오하 그란 리세르바
스톤번, 몬테플로레스 말벡, 투핸즈 홉스앤드림스, 1865 쉬라, 페레즈 크루즈 쉬라, 고스트 파인, 란 리오하 그란 리세르바
2022.08.03 -
오이스터 베이, 루이스 엠 마티니, 샤또 필부아, 투핸즈 홉스 앤 드림스, 레 끌로 드 폴리 콜리우르
오이스터 베이, 루이스 엠 마티니, 샤또 필부아, 투핸즈 홉스 앤 드림스, 레 끌로 드 폴리 콜리우르
2022.05.01 -
배비치 쇼비뇽블랑, 루시앙 알브레히트 리슬링 리저브, 요리오, 꼬또 데 이마스
배비치 쇼비뇽블랑, 루시앙 알브레히트 리슬링 리저브, 요리오, 꼬또 데 이마스
2022.01.11 -
루시앙 알브레히트 알자스 그랑크뤼 리슬링, 게뷔르츠트라미너, 소피아 보발, 줄리아 모나스트렐
루시앙 알브레히트 알자스 그랑크뤼 리슬링, 게뷔르츠트라미너, 소피아 보발, 줄리아 모나스트렐
2021.11.27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