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 마리아, 킴크로포드, 도멘 길라만,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 샤또 레리송
빌라 마리아 프라이빗 빈 소비뇽블랑(Villa Maria, Private Bin Sauvignon Blanc), 2020 - New Zealand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코스트코에 가서 가성비 좋은 화이트 와인 하나를 고르라면 바로 집어오는 화이트 와인이다. 할인행사를 하면 2만원 미만으로 구입이 가능하고 평소에는 2.5만원 정도에 구입할 수 있다. 그래도 내 개인적인 호불호로 따지면 배비치의 가성비에 미치지는 못한다.
옅은 레몬빛에 오픈하면 바로 라임향이 터져나온다. 라임향 가득함 속에 풋사과의 신선한 애플향이 뒤따라온다. 아주 가볍고 산뜻한 청량감을 보여주는데 파인애플향의 은은한 단맛이 살짝 묻어 있어서 깃털같은 무게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산도도 너무 튀지 않고 입에 고르게 퍼진다. 다만 가성비 와인이라 고급스러움을 찾을 수는 없다. 그래도 화이트 와인의 청량감을 느끼는데 제 몫을 톡톡히 한다. 생선회와 페어링 했을 때 조화가 아주 훌륭했다.
킴 크로포드, 말보로 소비뇽블랑(Kim Crawford, Marlborough Sauvignon Blanc), 2020 - New Zealand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코스트코에 가서 소비뇽블랑 하나를 고르라고 하면 세 손가락 안에 드는 화이트 와인이다.
달달한 향과 함께 프레쉬한 그린애플, 레몬향이 가득한 쇼블향이 가득하다. 탄산의 톡톡 튀는 듯한 느낌이 간혹 느껴지지만 대체로 부드러운 편이고 패션후르츠와 레몬맛으로 마무리 된다. 레몬의 끝맛이 조금 더 있어서 미세하게 씁쓸한 마무리도 보인다. 잘 익은 과일의 산미도 함께 하고 있어서 끝을 산뜻하게 잡아준다.
도멘 길라만 샤르도네(Domaine Guillaman Chardonnay), 2020 - France
샤르도네(Chardonnay) 100%
옅은 연노란빛을 띄고 바닐라향이 지배적이고 그 뒤에 꿀향 따라온다. 꿀의 단맛 끝에 오는 쓴맛인지.. 자몽의 쓴맛 같은 느낌이 끝 부분에 느껴지는데 좋은 느낌이진 않았다. 와인에 꿀향이라니 첫 맛과 향에서 어색하면서 이색적인 느낌을 동시에 받았다. 개인적으로는 불호에 가깝다. 오크향도 느껴져서 해산물과 마시기는 어렵고 식전주로도 어려울 듯 하고 디저트 와인으로 마셔야 할 것 같다.
샤르도네 품종은 재배가 쉬운편이고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향과 풍미를 지니고 있어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생산자의 의도와 떼루아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와인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진 품종이다. 프랑스에서는 샤르도네, 미국에서는 샤도네이로 읽는다.
보떼르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 클라시코(Botter Amarone della Valpolicella Classico), 2016 - Italy
꼬르비나 베로네즈(Corvina Veronese), 론디넬라(Rondinella), 몰리나라(Molinara)
30분 이상 병입 디켄딩 후 마셨다.
짙은 자주빛에 복합적인 향 사이에서 알콜향이 훅 들어온다. 15% 도수에서 오는 강한 느낌이다. 일주일 동안 냉장고에 두고 꺼내 마셨을 때도 알콜향이 많이 올라왔지만 처음 마셨을 때 보단 조금 약해진 느낌이 있긴 했다. 어찌되었건 15% 이기 때문에 같은 양을 마셨을 때 취기는 더 많이 따라온다. 블랙 베리류의 향, 건포도 향, 체리 향, 다크 초콜릿 향 등 복합적인 향이 인상적이다. 부드러운 타닌감과 복합적인 향과 당도가 어울리면서 여운도 있는 것 같은데 그 때 마다 알콜향이 올라와서 콕콕 찌르며 방해한다.
발폴리첼라 지역에서 생산된 이 와인은 일반적인 양조방식과 조금 다른 말린 포도를 사용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3~5개월 정도 포도를 말려서 사용하는데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양조 방식을 가리켜 아파시멘토(Appassimento)라고 하는데 이 기법은 스위트 와인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고 한다. 스위트 와인을 만드는 방식에서 과발효되어 단맛이 하나도 남지 않게 되면서 묵직한 풀바디 와인이 발견되었고 이렇게 탄생한 와인을 아마로네 델라 와인이라고 한다. 와인의 도수가 높은 이유도 농축된 포도를 사용해서 높은 당도를 가졌을 것이고 그 만큼 와인의 도수가 높으면서 건포도 향도 풍기는 것 같다. 어떤 리뷰를 보면 알콜향이 별로 없다고 하는데, 내가 구입한 것만 그런건지는 모르겠다. 다만 확실한 건 알콜향만 없었더라면 아주 멋진 와인일 것이란 생각이 든다.
샤또 레리송 프랭크 리저브 보르도(Chateau L'Heyrisson Frank's Reserve Bordeaux), 2019 - France
메를로(Merlot) 60%, 까베르네 쏘비뇽(Cabernet Sauvignon) 20%,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20%
루비 색상에 건자두 향, 오크 향, 감초 향, 블랙베리류 향이 가득하다. 첫 모금은 풍부한 향에 비해 산미가 입안에 과할 정도로 넘쳐 와인의 밸런스를 깨뜨리는 느낌을 받았다. 보쌈과 페어링 해서 먹었는데 초반에 느껴졌던 산미는 마시다보니 적응이 된 건지, 와인 자체의 산미가 줄어든 건지 모르겠지만 점점 산미가 줄어든 느낌을 받았고 초반보다는 밸런스가 나아지는 느낌을 받았다.
와인을 오픈 할 때 병 입구 쪽 금테로 된 모습이 뭔가 고급스러워서 평소 더 아랫쪽에서 벗겨내지만 머릿쪽만 살짝 벗내게 되었다. 산미만 잘 잡혔더라면 아주 멋진 와인일 거란 생각을 해본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루시앙 알브레히트 알자스 그랑크뤼 리슬링, 게뷔르츠트라미너, 소피아 보발, 줄리아 모나스트렐
루시앙 알브레히트 알자스 그랑크뤼 리슬링, 게뷔르츠트라미너, 소피아 보발, 줄리아 모나스트렐
2021.11.27 -
퍼플독 정기구독 6개월 이용 후기(내돈내산)
퍼플독 정기구독 6개월 이용 후기(내돈내산)
2021.11.22 -
1865 까쇼, 노블힐 까쇼, 샤또 베르누스 메독, 비냐 페자 라 코르테
1865 까쇼, 노블힐 까쇼, 샤또 베르누스 메독, 비냐 페자 라 코르테
2021.08.13 -
실레니 셀라 셀렉션, 배비치 블랙라벨, 도마네 고벨스버그 그뤼너 벨트리너, 켄달잭슨 까베르네소비뇽
실레니 셀라 셀렉션, 배비치 블랙라벨, 도마네 고벨스버그 그뤼너 벨트리너, 켄달잭슨 까베르네소비뇽
2021.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