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느려짐 메모리 점유율 문제(메모리 누수),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메모리 점유
윈도우10을 사용하다보면 컴퓨터가 갑자기 버벅거리거나 느려지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오늘 다룰 내용은 비정상적으로 메모리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컴퓨터가 느려지는 문제를 다루려 한다. 메모리 점유율 또한 운영체제의 문제일 수도 있고 다른 서드파티 프로그램에 의한 문제일 수도 있고 그것도 아닌 또 다른 문제일 수도 있다. 모든 메모리 누수의 문제가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본인의 메모리 용량은 16GB 인데 컴퓨터를 부팅하고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았는데 메모리를 벌써 89%나 사용한다고 나온다.
데스크톱 창 관리자를 여는 방법중 하나는 Ctrl + Shift + Esc 키를 동시에 눌러주면 된다.
16GB의 89%는 14GB 이상을 사용한다는 건데, 일반적으로 윈도우10 운영체제만 실행되면 4~5GB 정도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비정상적으로 메모리 사용 비중이 높다.
리소스 모니터 여는 방법 시작 > 실행 > resmon
프로세스 전체가 차지하는 메모리 용량이 얼마인지 확인하기 위해 리소스 모니터를 열어 계산해 보았다. 리소스 모니터에는 14.2GB를 사용한다고 나와 있으나 아무리 더해도 14.2GB는 터무니 없이 높은 값이었다. 운영체제에서 관리되지 않는 메모리, 즉 메모리 누수가 있는 것이다. 구글링을 해보니 비슷한 증상으로 고통받는 사용자들이 많아 보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소개되고 있었다.
그 중 비슷한 생각을 가져온 글, 페이징 처리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견을 보게 된다.
https://www.sharedit.co.kr/qnaboards/23326
윈도우10 메모리 점유율 문제 원인을 찾았습니다.
세번째 글을 쓰네요.윈도우10 64비트 1809버전 사용중 메모리의 비이상적인 점유때문에 문의를 드렸었는데원인은 찾았습니다. 프로세스등 프로그램 점검등 해보라하셔서 다해봤지만...
www.sharedit.co.kr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
에 있는 ClearPageFileAtShutdown 값을 0 -> 1로 변경해주면 된다.
그렇게 메모리 누수 문제가 해결되는가 싶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비슷한 문제가 재발했다.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이란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는 윈도우1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윈도우 디펜더(Windows Defender)에 속한 프로세스로 이름 그대로 맬웨어(Malware)라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다. 그런데 윈도우 방화벽에서 스스로를 악성 소프트웨어로 인식해서 계속 자기 자신을 막으려 하기 때문에 메모리 증가 또는 CPU 점유율 상승의 문제를 만든다고 한다.
CPU 점유율이나 메모리 증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윈도우 디펜더(Windows Defender) 방화벽에서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을 제외하여 자기 자신을 검사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스스로 자신을 검사 대상으로 둔 것은 자신이 악성 소프트웨어로 변경되었을 수 있기 때문일 것 같다.
1. Windows Defender 방화벽에서 앱 허용 추가
1) 제어판 > Windows Defender 방화벽 or (윈도우 > 설정 > 설정 검색에 Windows Defender 방화벽) 검색
2)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통해 앱 또는 기능 허용
3) 다른 앱 허용 (비활성화 되어 있다면 상단의 설정 변경을 누름)
4) 찾아보기 클릭
5) C:\Program Files\Windows Defender 경로 내 MsMpEng.exe 파일을 선택하여 열기
6) 추가
7) 확인
2. Windows 보안에서 제외 사항 추가
1)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2) Windows 보안
3)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4)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 설정 관리
5) 제외 > 제외 추가 또는 제거
6) 제외 사항 추가 > 파일
7) C:\Program Files\Windows Defender 경로 내 MsMpEng.exe 파일을 선택하여 열기
1, 2 과정을 수행 후 재부팅
해결 방법이라고 적어놓았지만 메모리 누수나 CPU 점유율 상승 문제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증상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 운영체제 부팅 후 작업 관리자에서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의 메모리 사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위 방법을 적용해보는 것이 좋겠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삼성 갤럭시북2(Galaxy Book 2, NT750 모델) 분해, 셀프 업그레이드
삼성 갤럭시북2(Galaxy Book 2, NT750 모델) 분해, 셀프 업그레이드
2023.03.30 -
All boot options are tried. 바이오스에 부팅 순서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 BIOS boot order is not displayed
All boot options are tried. 바이오스에 부팅 순서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 BIOS boot order is not displayed
2023.03.15 -
스마트카라 음식물 처리기 음식물 굳음 해결 방법
스마트카라 음식물 처리기 음식물 굳음 해결 방법
2022.05.10 -
탄 냄비 닦는 법, 베이킹소다와 식초 사용
탄 냄비 닦는 법, 베이킹소다와 식초 사용
20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