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레니 셀라 셀렉션, 배비치 블랙라벨, 도마네 고벨스버그 그뤼너 벨트리너, 켄달잭슨 까베르네소비뇽

실레니 셀라 셀렉션 소비뇽 블랑(Sileni Cellar Selection Sauvignon Blanc), 2020 - New Zealand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투명한 연두빛인데 색이 거의 없는 것 같은 느낌이다. 그린 애플향, 풀내음, 지푸라기향, 라임향이 직관적으로 느껴지고 그 후에 약한 귤껍질향에 이어 자몽향 등의 입안 가득 시트러스향이 느껴지면서 싱그럽고 산뜻한 느낌을 준다. 천천히 음미하면 복숭아향, 패션후르츠, 멜론향과 함께 약한 단맛, 적절히 입안을 감싸는 산미가 함께 하면서 한 모금 넘길 때마다 맛있다 라는 소리가 입 밖으로 저절로 나왔다.
실레니 라는 이름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포도주의 신인 바쿠스와 함께 등장하는 신의 이름이라고 한다.
뉴질랜드 말보로 지역 와인으로 말보로 지역은 혹스베이 남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뉴질랜드에서 가장 역사가 깊으며 가장 넓은 포도밭은 차지하고 있다. 에티켓 위에 표시된 삼각형의 심볼은 훌륭한 음식, 훌륭한 와인, 훌륭한 회사를 뜻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배비치 블랙 라벨 말보로 소비뇽 블랑(Babich Black Label Sauvignon Blanc), 2020 - New Zealand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배비치의 소비뇽블랑은 개인적으로 즐겨찾는 화이트 와인 중에 하나이다.
밝은 레몬빛인테 색이 거의 없는 듯한 투명한 느낌이다. 싱그러운 그린 애플향, 레몬향, 라임향, 허브향 이 주를 이루고 산뜻한 청량감이 일품이다. 레몬의 순한 버전 같은 상쾌하면서 씁쓸한 끝맛이 끝을 잡아주면서 마무리를 깔끔하게하면서 산뜻함을 더 이끌어주는 느낌을 받는다. 산미 때문인지 입안에서 톡톡 터지는 듯한 느낌이 있고 미세하게 달달한 맛과 산미가 조화를 이루면서 깔끔하게 끝나면서도 제법 여운을 남긴다. 복합미 보다는 단순한 듯한 느낌 쪽에 가깝지만 맛이 좋고 가볍게 즐기기에 좋다.
블랙라벨이 하위 버전에 비해 할인가 기준 약 8000원 정보 비싼 가격으로 나오는데 개인적으로는 생각하는 블랙라벨의 차이점은 산미 때문으로 느껴지는 톡톡 터지는 듯한 느낌이 더한다는 느낌 정도이다.
도마네 고벨스버그 그뤼너 벨트리너(Domaene Gobelsburg Gruner Veltliner), 2019 - Austria
그뤼너 벨트리너(Gruner Veltliner) 100%
금빛 밝은 연두빛의 색에 자몽향, 라임향, 그린애플, 복숭아, 배, 허브향, 트로피칼 후르츠의 향과 함께 청량감이 있으면서 아주 미세한 단맛이 여러향을 조화롭게 엮어준다. 복합미와 함께 꽤 긴 여운이 마지막 끝까지 함께 하는 느낌을 받는다. 드라이한 편이면서 바삭한 듯한 산미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있어서 식전주로 꽤 좋을 것 같다.
오픈 후, 냉장고에 두고 3주 째 두고 마셨는데도 맛과 향이 그대로 잘 유지되었다. 몇 년간 병숙성을 거쳐야 할 정도로 숙성력이 좋다는 걸 보면 3주 째 두고 마셔도 처음 마셨을 때와 차이가 없던 이유를 알 것 같다.
이 와인으로 인해 오스트리아 화이트 와인에 호감을 느끼게 되었고, 오스트리아 와인에 대해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재구매 의사가 아주 높은 와인이다.
오스트리아 북서쪽에 있는 캄프탈(Kamptal) 지역에서 유서깊고 높은 평가를 받는 와인생산자 슐로스 고벨스버그(Schloss Gobelsburg)의 와인이다.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생산자 중 하나이며 리슬링과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토착품종인 그뤼너 벨트리너로 양조한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이 유명하다. 그뤼너 벨트리너 품종은 복숭아 향으로 시작해서 화끈한 흰 후추 향으로 마무리 되는 품종의 특징을 갖는다고 한다.
켄달 잭슨, 빈트너스 리저브 까베르네 소비뇽(Jendall Jackson, Vintner's Reserve Cabernet Sauvignon), 2018 - USA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96%,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3%, 메를로(Merlot) 1%
자주빛 색상에 오크향, 달콤한 블랙 베리류의 향, 적포도의 단맛이 제법 많다. 중간 이하의 타닌감을 보이다가 점점 타닌감을 더 나타내는데 내 기준에서는 그래봐야 중간정도의 타닌감 정도로 밖에 느껴지지 않는다. 산미는 약한 편이지만 어느 정도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저가 카베르네 소비뇽은 보통 튀는 맛을 많이 느껴 왔는데 켄달 잭슨은 튀는 맛 보다는 잔잔하고 부드러운 느낌이 많다. 향은 전형적인 까쇼의 향인데 타닌감은 일반적인 까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단맛이 많은 느낌을 나타낸다. 고급진 느낌보다는 캐주얼한 데일리 와인의 느낌이 많아서 가볍게 마시기에 좋은 듯 하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빌라 마리아, 킴크로포드, 도멘 길라만,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 샤또 레리송
빌라 마리아, 킴크로포드, 도멘 길라만,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 샤또 레리송
2021.11.13 -
1865 까쇼, 노블힐 까쇼, 샤또 베르누스 메독, 비냐 페자 라 코르테
1865 까쇼, 노블힐 까쇼, 샤또 베르누스 메독, 비냐 페자 라 코르테
2021.08.13 -
크레장시 상세르, 도그 포인트 쇼블, 켄달잭슨 까쇼, 루이스 까냐스 그랑 리제르바, 킬리카눈 킬러맨즈런 쉬라즈
크레장시 상세르, 도그 포인트 쇼블, 켄달잭슨 까쇼, 루이스 까냐스 그랑 리제르바, 킬리카눈 킬러맨즈런 쉬라즈
2021.05.04 -
랭혼 샤도네이, 커클랜드 말벡, 꼬또 데 이마스 그랑 리세르바, 투핸즈 날리 듀즈, 우마니 론끼 요리오
랭혼 샤도네이, 커클랜드 말벡, 꼬또 데 이마스 그랑 리세르바, 투핸즈 날리 듀즈, 우마니 론끼 요리오
2021.03.24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