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graphy
알락수염노린재 RF 100mm F2.8L Macro
알락수염노린재 RF 100mm F2.8L Macro
2021.08.11이번에 찾아본 곤충은 알락수염노린재 이다. 지난 번 화려하고 멋있어 보이기 까지 하던 노랑배허리노린재에 비하면 이번 알락수염노린재는 정말 말 그대로 해충처럼 생겼다. 냄새도 다른 노린재에 비해서 더 날 것 같은 느낌이다. 들로 밭으로 헤메고 다니던 어린시절, 노린재를 건드리기라도 하면 지독한 냄새를 풍겼던 기억이 있다. 식물의 즙을 빨아먹는 더러운 해충으로만 기억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사진으로 담고 관찰하는 내가 되었다. 몸 길이는 대략 10mm 정도이고, 몸은 적갈색, 황갈색이다. 몸의 가운데 즘엔 노란색 삼각형 모양이 있고 주변으로 잔털이 많이 나 있다. 머리와 등에는 흑갈색의 작은 점들이 많이 있다. 더듬이는 흰색과 검정색 무늬가 교차되어 보이는데 마디 사이만 흰색으로 되어 있다. 배 옆쪽으로도 같은..
개미 접사 RF 100mm F2.8L Macro
개미 접사 RF 100mm F2.8L Macro
2021.08.11어찌나 빠르게 도망다니던지.. 물로 울타리를 만들어 놓아도 사방팔방 빠르게 돌아다니는 모습에 사진으로 담아내기 여간 어려운게 아니었다. 한 마리 잡아다가 찬물에 젖은 휴지로 감싸고 하다보니 몸에 물 묻은 게 싫어서 그랬나.. 다리로 더듬이를 그렇게 문지르는 행동을 보였다. 그렇게 활동이 조금 둔해질 때 찍다보니 어쩌다 걸린 사진 한 장. 사진 속 모습을 자세히 보면 더듬이와 앞다리 관절 부분에 물이 맺혀있다. 더듬이가 눈 위에 있는 줄 알았는데 코 위치 즘에 있는 것도 신기했고 큰 턱이라 불리는 부분은 1mm가 채 되지 않는데 그 작은 턱으로 커다란 동물의 사체를 자르고 옮기는 모습도 신기할 따름이다. 개미의 겹눈도 사진에 담고 싶지만 접사 튜브가 있지 않는이상 어려울 것 같다. 몸 길이 5mm 정도 되..
노랑나비 RF 100mm F2.8L Macro
노랑나비 RF 100mm F2.8L Macro
2021.08.11꽃에 앉아 기다란 빨대주둥이를 꼽고 꿀을 빨았으면 좋겠는데 어찌나 못생기고 지저분한 곳만 찾아가서 자리를 잡던지.. 한참을 그렇게 바람따라 날개짓 하며 날아다니던 나비를 쫓고 쫓아 그나마 깔끔해 보이는 곳에 앉았을 때 사진을 담았다. 노랑나비의 앞날개에는 검은색 무늬가 두 개 정도 보이고, 뒷날개에 마른 식물색의 원형 모양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비도 알(난) - 애벌레(유충) - 번데기(용) - 나비(성충)로 변태 과정을 겪는데 이 과정 하나하나를 모두 담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매미가 우화하고 남은 매미허물(선퇴) RF 100mm F2.8L Macro
매미가 우화하고 남은 매미허물(선퇴) RF 100mm F2.8L Macro
2021.08.10허물에 남겨진 작은 가시같은 털은 유충으로 살아가는 동안 제 기능을 하고 있었을 텐데 변태를 통해 털 마저도 두고 가는 모습은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최근에는 매미 허물을 구경할 일이 잘 없었는데 요즘 쉬는 시간에 곤충찾기를 하다보니 못보던 매미 허물을 다 찾게 되었다. 덕분에 촬영 거리가 생겼고 나름 괜찮게 담아보려고 애쓴 사진이다. 초근접 매크로 사진은 심도가 얕아지기 때문에 조리개를 조이고 찍을 수 밖에 없는데, 그 때문에 배경처리가 쉽지 않다. 밝은 배경을 두어야 그나마 깔끔한 사진이 나오는 듯 한데, 연습을 통해 극복해야 할 부분이다. 매미는 나무에 구멍을 뚫고 알을 낳는다. 약 1년 정도 지난 이듬해 여름에 알에서 유충으로 부화한다. 부화한 유충(애벌레)은 땅속으로 들어가 나무 뿌리의 즙을 빨..
노랑배허리노린재 (Plinachtus bicoloripes) RF 100mm F2.8L Macro
노랑배허리노린재 (Plinachtus bicoloripes) RF 100mm F2.8L Macro
2021.08.09이른 아침에 곤충들의 움직임이 둔할 때 사진으로 담으면 참 편할텐데, 어쩌다보니 점심식사 후에 회사 근처에서 곤충을 찾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오늘은 어떤 곤충을 만나게 될까? 날아다니는 잠자리는 가만히 앉아 있지를 않고 새로워 보이는 실잠자리도 가만히 있지를 않고 뜨거운 태양볕에 목줄기에서 땀이 주르륵 흘러내리기만 한다. 그렇게 풀숲, 나뭇잎 주변을 뒤지던 중 노린재 한 마리를 발견하게 되었다. 등은 검은색에 배는 진한 노란색을 띤 이 노린재는 노랑배허리노린재 이다. 이팝나무 잎사귀 뒷면에서 발견했고 이미 성충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약충의 모습은 몸이 조금 더 둥글고 등 또한 배처럼 진한 노란색에 검은색의 점이 박혀있는 모습이다. 몸 길이는 대략 2cm 남짓의 길이였고 몸 길이 만큼이나 긴..
깡충거미 마크로 RF 100mm F2.8L Macro
깡충거미 마크로 RF 100mm F2.8L Macro
2021.08.04깡충거미(약 4mm) R6 + RF 100mm F2.8L + Metz 58 AF-2 오랜만에 담아본 곤충 접사 잎사귀 뒷편에서 식사중이던 모습을 담아보려 했지만 바람이 많이 불고 플래시가 안터지는 바람에 조금 더 귀한 장면은 놓치고 말았다. 도망다니던 깡충거미를 쫓다 보니 식사 후 모습만 담아보게 되었다. 오랜만에 담아봐서 그런지 더욱 더 신기하게 느껴지는 마크로 세계. 넓은 풍경을 바라보는 것도 경이롭지만 작고 작은 생명체의 모습도 경이로운 느낌을 받는다.
SLR 클럽 캐논 EOS R5 & R6 리뷰/사용기 컨테스트 최우수상
SLR 클럽 캐논 EOS R5 & R6 리뷰/사용기 컨테스트 최우수상
2021.05.08주최 : SLR 클럽 접수기간 : 2021.03.04(목) ~ 2021.04.25(일) 결과발표 : 2021.05.07(금) www.slrclub.com/bbs/vx2.php?id=event&no=1154 *당첨발표*캐논 EOS R5 | EOS R6 리뷰/사용기 컨테스트 ▶리뷰/사용기 작성하러가기(클릭)▶SPEEDLITE EL-1 자세히보기(클릭)▶RF85mm F2 MACRO IS STM 자세 www.slrclub.com SLR클럽 EOS R5 | EOS R6 리뷰/사용기 컨테스트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메모리카드 하나만이라도 받아보자는 심정으로 글을 썼는데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면서 추천수와 조회수가 높아서 좋은 성적을 거둔 것 같다. 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휴대폰에 조금씩 메모하고 정리해둔 덕분에 ..
송도 투모로우시티, 스타트업파크
송도 투모로우시티, 스타트업파크
2021.04.0210년 전 즘 송도가 개발되고 있었을 즘엔 투모로우시티의 원형 기둥이 지금보다 훨씬 빛이 가득했다. 미래도시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멋진 건축물이었지만 제기능을 못하고 10여년 방치되어 불이 다 꺼진 상태로 있다가 얼마전 부터 건물에 불이 다시 들어왔다. 리모델링 후 스타트업 파크의 메카로 재탄생했다고 한다. 건물이 꽤 모던한 모습이고 조명에 따라 더 화려하게 보이기도 해서 송도에서 사진촬영하기 괜찮다 생각되는 건축물이다. 지금은 좀 밋밋한 느낌이 있지만 처음 지어졌을 때 처럼 멋진 조명이 갖춰진 모습을 다시 볼 수 있길 바라본다.
아이폰11으로 접사를 찍어보면?
아이폰11으로 접사를 찍어보면?
2021.01.20갤럭시나 아이폰으로 접사 촬영을 해보면 피사체와 약 10cm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만 촬영이 가능하다. 단, 갤럭시 S20 Ultra, S21 Ultra의 경우에는 줌 기능이 더해져 초접사 같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긴 하지만 해상력이 좋지 않아 광학줌이지만 디지털 줌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이 단점이라 할 수 있다. 10년 넘도록 앱등이로 살아온 본인에게 아이폰의 접사는 언제나 갈증을 일으켰고, 목마른자가 우물을 파듯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휴대폰 카메라에 추가로 접사 렌즈를 장착하는 방법을 이용해왔었다. 2018/12/13 - [Photography/Macro] - 아이폰6s로 바라본 새하얀 눈꽃송이 (SNAPUM micro 15x Lens) 아이폰6s로 바라본 새하얀 눈꽃송이 (SNAPUM micro 15x..
하늘 좋은 날 SNCT 일몰
하늘 좋은 날 SNCT 일몰
2020.12.07나는 하늘을 유난히 자주 올려다본다. 하늘 색을 볼 때도, 구름을 볼 때도, 하늘 너머 우주를 생각할 때도 올려다본다. 해안가에 있을 때는 낮의 해풍이 밤의 육풍으로 변할 때도 올려다본다. 비열 차이 때문인지 구름이 육지로 밀려들어오기 때문이다. 눈이 즐거워지는 그 시간을 잡아본다. ... EOS R6 + RF15-35 F2.8 IS (9 Photos)
코스모스가든 포토존 이벤트 3등
코스모스가든 포토존 이벤트 3등
2020.11.17코스모스 가든 포토존 이벤트 3등 www.instagram.com/p/CGd8QGdAvN7/ 주최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접수기간 : 2020.10.15(목) ~ 10.18(일) 결과발표 : 2020.10.26(월), 현대아울렛 인스타그램 댓글 & 개별 DM www.instagram.com/p/CGWE6OSFzUu/
금성 일식(Venus Transit of the Sun)
금성 일식(Venus Transit of the Sun)
2020.06.182020년 6월 21일 15시 53분 부터 2시간 11분 동안 태양의 절반 정도를 가리는 일식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네팔 서쪽 히말라야 부근에서는 태양을 다 가리지 못하고 가장자리가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금환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고 한다. 그외 다른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된다. 이번 일식을 놓치게 되면 그 다음 일식은 2030년 6월 1일 이라고 한다. 10년 후에나 관측할 수 있는 일생에 몇 번 보지 못하는 우주쇼에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일식 사진을 자주 담아본 적 없어서 더욱 기대가 된다. 그러다 문득 2012년에 있었던 금성 일식이 떠올랐다. 우주 속 작은 존재가 바라보던 그 날의 신비. 2012년 6월 6일 금성이 태양면을 통과 했다. 105년 뒤인 2117년에야 다시 볼 수..